[김대호의 경제읽기] 올해 가계대출 18년 만에 첫 감소…내년 전망은?<br /><br /><br />올해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보다 줄어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가 이례적으로 감소하며 수년간 은행권을 압박해온 가계대출 총량 관리도 사실상 사라지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올해 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입니다. 최근 고금리로 부동산과 주식, 코인 등 자산시장이 얼어붙었는데 영향이 컸던걸까요? 2004년부터 연말 가계대출 잔액이 전년보다 줄어든 적이 없었다던데 얼마나 이례적인 일인가요?<br /><br /> 최근 수년간 은행권을 강하게 압박해온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사실상 사라지고 있고 은행들은 스스로 대출 금리를 낮추며 수요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데 이 또한 가계대출 감소 현상과 무관하지 않은 거죠?<br /><br /> 우리 경제의 최대 뇌관이었던 가계대출 규모가 줄어들고 있지만 마냥 긍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기업 대출이 크게 늘어난 점도 우려됩니다. 이런 가운데 한은이 내년 초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데 현실화 될 경우 경제 여파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급격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증시의 하락장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시가총액 상위권 순위에 큰 변동이 생겼습니다.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가장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매파적 기조가 내년에도 지속될 경우 금융시장에 미칠 여파도 클텐데 내년 국내증시는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 우리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 산업 전망은 어떤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